HomeCPA Kim 회계와 세무가업승계가업상속 공제 후 사후관리

가업상속 공제 후 사후관리 [가업상속공제]

가업상속 공제 후 사후관리 [가업상속공제]

가업상속 공제 후 사후관리
[가업상속공제]

가업상속공제의 사후관리

가업상속공제를 적용받았다 하더라도 가업상속인이 상속개시일로부터 5년간 사후 의무요건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속세를 재계산·납부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사유발생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에 「가업상속공제 사후 관리추징사유신고 및 자진납부 계산서」를 납세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제출하고 상속세와 이자상당액 납부해야 합니다.

가업상속 공제 후 사후관리 [가업상속공제]
출처: 국세청, ‘가업승계 지원제도 안내’, 2024.04.

가업상속인의 사후의무 이행 위반사유

1) 해당 가업용 자산의 40%이상을 처분한 경우

가업용 자산의 처분비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가업용 자산 중 처분한 자산의 상속개시일 현재의 가액]
÷ 상속개시일 현재 가업용 자산의 가액

이때 공제받은 가업용 자산을 사업에 사용하지 않고 임대하는 경우도 처분한 것으로 본다.

2) 해당 상속인이 가업에 종사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 상속인이 대표이사 등으로 종사하지 아니하는 경우
  • 가업의 주된 업종을 변경하는 경우
    (한국 표준산업분류 상 대분류 내 업종변경 허용, 평가심의위원회 심의 후 대분류 외 변경 허용)
  • 해당 가업을 1년 이상 휴업(실적이 없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폐업하는 경우

3) 주식 등을 상속받은 상속인의 지분이 감소된 경우

  • 상속인이 상속받은 주식 등을 처분하는 경우
  • 유상증자 시 상속인이 실권하여 지분율이 감소되는 경우
  • 상속인과 특수관계에 있는 자가 주식 등을 처분하거나 유상증자시 실권하여 상속인이 최대주주 등 해당하지 않게 된 경우
  • 해당 법인의 감자로 인해 보유주식 수가 감소한 경우(단, 균등 무상감자는 제외)

 

4) 근로자 수가 감소하거나 총급여액이 감소한 경우 (5년 후에 판단함)

  • 상속개시일부터 5년간 정규직 근로자 수의 전체 평균이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2개 사업연도의 정규직 근로자 수의 평균의 100분의 90에 미달하는 경우
  • 상속개시일부터 5년간 총급여액의 전체 평균이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2개 사업연도의 총급여액의 평균의 100분의 90에 미달하는 경우

근로기준법에 따라 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한하며, 소득세법 §20①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소득(급여 및 상여 등)의 합계로 총급여액을 계산합니다.

 

사후의무 이행을 위반하였더라도 추징되지 않는 정당한 사유

사후의무 이행을 위반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속세가 추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15⑧)

1) 가업용 자산을 처분한 정당한 사유

  • 법률에 따라 수용 또는 협의 매수되거나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양도되거나 시설의 개체, 사업장 이전 등으로 처분되는 경우로 처분자산과 같은 종류의 자산을 대체 취득하여 가업에 계속 사용하는 경우
  • 가업상속 재산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증여하는 경우
  • 가업상속 받은 상속인이 사망한 경우
  • 합병·분할, 통합, 개인사업의 법인전환 등 조직변경으로 인하여 자산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다만, 조직변경 이전의 업종과 같은 업종을 영위하는 경우로서 이전된 가업용 자산을 그 사업에 계속 사용하는 경우에 한함)
  • 내용연수가 지난 가업용 자산을 처분하는 경우
  • 업종변경 등에 따른 자산 처분 후 변경업종 자산을 대체취득한 경우
  • 자산처분금액을 연구인력개발비로 사용하는 경우

 

2) 가업에 종사하지 아니한 정당한 사유

  • 가업상속 재산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증여하는 경우
  • 가업상속 받은 상속인이 사망한 경우
  • 상속인이 법률에 따른 병역의무의 이행, 질병의 요양, 취학상 형편 등 부득이한 사유에 해당.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해소된 후에는 가업에 종사해야 함)

 

3) 상속인의 지분이 감소한 정당한 사유

  • 합병·분할 등 조직변경에 따라 주식 등을 처분하는 경우.
    (다만, 처분 후에도 상속인이 합병법인 또는 분할신설법인 등 조직변경에 따른 법인의 최대주주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함)
  • 해당 법인의 사업 확장 등에 따라 유상증자할 때 상속인의 특수관계인 외의 자에게 주식 등을 배정함에 따라 상속인의 지분율이 낮아지는 경우
    (다만, 상속인이 최대주주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함)
  • 상속인이 사망한 경우
    (다만, 사망한 자의 상속인이 원래 상속인의 지위를 승계하여 가업에 종사하는 경우에 한함)
  • 주식 등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증여하는 경우
  • 상속받은 주식 등을 상증법 제73조에 따라 물납하여 그 지분이 감소한 경우로서 물납 후에도 상속인이 최대주주 등에 해당하는 경우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90조 제1항에 따른 상장규정의 상장요건을 갖추기 위하여 지분을 감소시킨 경우
  • 주주 또는 출자자의 주식 및 출자지분의 비율에 따라서 무상으로 균등하게 감자하는 경우
  • 회생계획인가 결정에 따라 무상으로 감자하거나 채무를 출자전환하는 경우

 

관련글

  1. 명의신탁주식(차명주식) 증여의제와 입증방법
  2. 가업상속공제와 가업승계 증여세 과세특례 비교
  3. 가업상속공제(사후 상속)의 적용 요건
  4. 업종 요건 관련 자주하는 질문 
  5. 가업 영위기간 관련 자주하는 질문
  6. 피상속인 요건 관련 자주하는 질문
  7. 상속인 요건 관련 자주하는 질문
  8. 가업상속재산 관련 자주하는 질문
  9. 가업상속 공제 후 사후관리 (상속개시일로부터 5년간)
  10. 사후관리 관련 자주하는 질문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RELATED ARTICLES
- Advertisement -

Popular Posts

- Advertisment -

Latest Posts

- Advertisment -